Magnetic contactor(전자 접촉기, 개폐기)의 원리와 용도 – 전장설계 기초 교육 Part6


전장설계 시, 필요한 Magnetic contactor(전자 접촉기, 개폐기)의 원리와 용도를 찾고 있나요?

영어도 처음 배울 때, 단어를 배우는 것처럼 우리가 사용하는 제품의 원리 및 용도를 알아야 합니다.

인터넷에서 ‘전자 접촉기’를 검색하면, 동작원리는 많이 나와 있지만, 어떤 용도로 사용하는지 알려주는 곳이 없어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그럼 우리가 알아야 할 제품의 원리와, 용도를 알아볼까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1. Magnetic contactor(전자 접촉기)의 원리

전자 접촉기

출처:LS-electric.com홈페이지

전자 접촉기라고도 부르고, 전자 개폐기라고도 불리우는 이 제품은, 기본적으로 모터, 히터, 등 동력 회로 안에서 스위치를 역활을 하고 있는 장치 입니다.

전자 접촉기의 원리에 앞써, 전자 접촉기와 개폐기의 차이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전자 접촉기 그 자체로는 과전류에 대한 보호 기능이 없고, 전자 접촉기 +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를 결합시킨 제품이 전자 개폐기 입니다.

둘의 차이는 과전류가 흐를 시, 차단을 할 수 있냐? 없냐의 차이입니다.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는 서머 릴레이(Thermal Overload Relay) 라고 부르는데, 내부에는 바이메탈 소자가 들어있어, 과전류가 흘러 열이 발생되면, 바이메탈에 의해서 전원이 차단 욉니다.

이 글에서는 전자 접촉기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1.1. 전자 접촉기의 원리

전자석

출처:헤시넷 홈페이지

전자 접촉기는 스위치를 개폐할 때, 전자석을 이용합니다.

전자석은 코일을 원동형으로 감고, 그 안에 원동형으로 된 철심을 넣어 제작 합니다. 그리고 코일에 전기를 공급하면, 자성이 생겨 전자석이 만들어지며, 제거하면 자성이 사라지게 됩니다.

전자 접촉기 동작원리

출처:LS-electric카달로그

위 그림을 보시면, 방금 설명드린 코일(전자석)과 스위치가 보이실 겁니다. 전원을 공급하면, 코일(전자석)이 자성을 띄어 그 옆에있는 가동철심을 당기게 됩니다. 그러면 움직이는 가동접점이 같이 움직여 양 옆에 있는 고정 접점이 연결되어 전기가 공급 되는 원리 입니다.


1.2. 전자 접촉기의 용도

전자 접촉기의 정확한 용도는 사람이 전장판넬에서 차단기를 동작하지 않고, 스위치, 시퀀스 회로, PLC 출력, Safety PLC(Controller)등 이용하여 해당 Line 의 동력을 개폐하고 싶을때, 사용 합니다.

1.2.1. 프로그램 및 시퀀스 회로를 이용 할때

물건이 투입 되면, 센서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입력받아 컨베이어(모터)를 돌리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사람이 물건이 투입된것을 확인하고, 확인하고 모터 차단기를 올리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

이럴때 센서 입력 신호를 받아 모터를 구동하는 회로 및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습니다.

  • 센서 입력 -> 릴레이 코일 동작으로 접점동작(전자 접촉기 코일 2Line 中 1Line 릴레이 코일에 연결)동작 -> 전자 접촉기 코일 동작으로 접점동작 -> 모터 구동

1.2.2. 모터의 방향(정역)을 바꾸고 싶을때

전자 접촉기 정역회로

출처:겐지노 창고 홈페이지

모터가 보통은 정방향으로 움직이지만, 역방향으로 움직여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요즘은 대부분 인버터로 움직이긴 하지만 엘레베이터를 상승(정방향) 하거나, 하강(역방향)할때 이러한 회로가 필요 합니다.

여기서 꼭 필요한 제품이 전자 접촉기 입니다.

정역회로는 L1,L2,L3 3개의 Line 中 2개의 Line 만 변경되면 정방향으로 움직이고 싶을때는 전자 접촉기1번의 코일을 공급하여 L1,L2,L3 Line 이 그대로 모터에 공급하면 되고,

역방향으로 움직이고 싶을때는 전자 접촉기의2번의 코일을 공급하여 L1,L2,L3 Line 中 (위 회로에서는 L2,L3 Line 의 회로를 바꾸었습니다.) 2개의 Line 을 변경하여 모터에 공급하면 됩니다.

  • 전자 접촉기는 기본적으로 동력 전원을 원하는 시간 및 조건에 개폐 하고 싶을 때, 사용.
  • 모터의 정,역 방향을 바꾸고 싶을때, 2개를 이용하여 사용.

부족하지만 여기까지 봐주신 여러분들께 감사합니다.

다음 강의에서는 SMPS(스위칭 모드 파워 써플라이)의 원리와 용도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Step By Step” 라는 말이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꾸준하게 제 글을 봐주신다면 전장설계를 좀더 쉽게 다가가실 수 있으실 겁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시간에 뵙겠습니다.


Leave a Comment

er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