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R(Solid state relay)무접점 릴레이의 원리와 용도 – 전장설계 기초 교육 Part9


전장설계 시, 필요한 SSR(Solid state relay)의 원리와 용도를 찾고 있나요?

영어도 처음 배울 때, 단어를 배우는 것처럼 우리가 사용하는 제품의 원리 및 용도를 알아야 합니다.

인터넷에서 ‘SSR’를 검색하면, 동작원리는 많이 나와 있지만, 어떤 용도로 사용하는지 알려주는 곳이 없어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그럼 우리가 알아야 할 제품의 원리와, 용도를 알아볼까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1. SSR(Solid state relay)의 원리와 용도

SSR

출처:samwon act 홈페이지

SSR은 무접점 릴레이 라고도 불리는데, 무접점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릴레이 처럼 코일에 전원을 투입하여, 기구적으로 연결 하는 방식이 아닌,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 방식으로 동작 합니다.

  • 포토 커플러 방식은 빛으로 신호를 On/Off 하여 기계적으로 접점을 On/Off 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

SSR은 신호를 빠르게 주고 받거나, 반복적으로 신호를 주고 받을 때, 사용되며, 접점 용량을 키운 SSR로 저항성 히터(ex:시즈 히터)히터를 컨트롤 할 때, 사용 됩니다.

  • SSR은 릴레이에 비해 구조가 간단.
  • SSR은 빛으로 신호를 전달하기 때문에 릴레이 보다 속도가 빠르고, 노이즈에 강함.
  • SSR과 릴레이는 구조 및 동작 방식은 다르나, 전원을 투입하고 접점을 개폐한다는 점은 같음. [릴레이 설명 글]

1.1. SSR(Solid state relay)의 원리

SSR 구조 및 동작원리

출처:panasonic 메뉴얼

SSR은 구조적으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스위치 역활을 하는 포토다이오드(트랜지스터 or Mosfet)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위 그림으로 간단히 설명 드리면 1,2번 Pin 에 전원을 공급하여, 소자 내부에 LED 가 빛을 확산하면, 그 빛을 수광 소자가 받아드려 역전류 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여 3,4번 Pin 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구조입니다.

Mosfet 원리33

출처:applepop 블로그

발광 다이오드와, 스위치 역활을 하는 포토다이오드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습니다.

  • 포토 다이오드에 역방향전압을 걸고, 빛을 조사하지 않으면, 전류가 흐르지 않음.
    • pn 접합 부근에 공핍층이 생김
      • 가운데에 p형은 +, n형은 – 가 이동되는 현상.

즉, 포토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로 바꾸어주므로 전류의 방향이 P->N, 에서 N->P로 바뀐다.

  • 포토 다이오드는 광이 입사하지 않을 때, 일반적인 다이오드 특성과 같다.
  • 광이 입사할 때, 역방향 전류가 입사 광량에 비례하여 흐르게 된다.

1.2. SSR(Solid state relay)의 용도

celduc SSR

출처:celduc 메뉴얼

SSR은 릴레이와 거의 같은 역활을 하지만, 조금 다르게 쓰는 용도도 있습니다.

[릴레이 설명 글]에서도 설명을 드렸지만 릴레이의 주요 용도로는

  • 시퀀스(Sequence)회로.
  • 부하단보다 출력접점의 허용용량이 높을 때.
  • 다른장비 및 기기와 Interface(주고받는)할 때.

입니다.

여기에서 SSR의 특징을 다시한번 말씀드리면

  • 동작속도가 매우 빠름.
  • 릴레이와 다르게 기계적으로 접점을 개폐하지 않기 때문에 반영구적.
  • 입력신호의 전압 범위가 넓다.

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주로 사용하는 용도를 말씀드리겠습니다.

1.2.1. Vision Trigger 신호 및 자주 반복하는 신호 구성 시,

운영 SSR

출처:Nalayang

제가 예전에 전장설계 시, Vision Trigger 신호의 출력 신호 전압은 거의 5V 였습니다.

불과 3~4년 밖에 지나지 않아 지금도 거의 동일하다고 판단 되는데요. 보통 릴레이는 전압 폭이 20~26V 정도(Sanwon ACT 릴레이 기준)입니다.

  • 위 그림을 보시면 SSR 은 전압 범위가 보통 4~32VDC.

Sanwon ACT 릴레이 같은경우, Omron社, Parasonic社 제품 릴레이를 자체 제작한 릴레이 보드에 끼워 맞춰 판매하는 방식이라 위 언급한 메이커 릴레이를 검색하여 산다면 5V 릴레이를 구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릴레이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3가지가 더 있습니다.

  • 전압은 맞출 수 있지만, 자체 제작한 릴레이 소켓의 내부 LED(동작 표시등) 의 전압이 맞지 않음
    • LED는 들어올 수 있지만, Samwon ACT 에 전화 문의 결과 보증은 하지 못한다는 답변.
  • 동작속도가 SSR이 더 빠름.
    • 동작속도는 크게 차이나지 않을수도 있으나 장비특성에 따라 그 조금의 속도 차이로 인해 Trigger 신호가 무시되는 경우 발생.
    • 빠른 Tact Time 을 요구하는 장비같은 경우 Vison Trigger 신호는 초당 10개 이상 발생할 수도 있다. (ex: 종이컵 생산라인, 2차전지 Lamination 장비 등)
  • 접점이 기구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접점 소손이 있을 수 있음. 즉, 개폐수명이 있음.

릴레이 사용을 완전히 못하는건 아닙니다만, ‘적합하지 않다.’ 라고 표현드리고 싶습니다.

1.2.2. 저항성 Heater를 제어할 때,

Heater를 제어한다고?!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SSR은 Heater 제어하기에 적합한 제어기기 입니다.

Heater 제어용 SSR

출처:Woonyoung

위 회로를 보시면 투광 다이오드와 수광 다이오드가 있는데, 수광 다이오드 쪽을 자세히 보시면 양 방향으로 걸려있습니다. 이렇게 걸려 있으면, AC 를 제어 할 수 있습니다.

SSR Heater 회로

출처:Nalayang

위 회로는 실제로 쓰일만한 회로를 간단히 표현하였습니다. 위 회로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드리면, Temp Controller 에서 제어 신호를 SSR에게 넘겨주어 그 신호를 바탕으로 Heater 가 제어되는 형태입니다.

주의 하실점이 있는데, SSR은 할로겐 히터(Halogen heater)와 같이 Coil이 있는 Lamp heater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를 간단히 설명드리면, SSR로 제어할 시, 출력을 0% or 100% 만 출력하게 됩니다. 유도성 부하는 초기기동시 6~7배 해당하는 순간부하 전류가 자주 반복하기 때문에 Heater는 금방 소손이 됩니다.

유도성 부하에 관해서는 [배선용 차단기 설명글 – 1.2.1 유도성 부하] 참조 바랍니다.

  • SSR로 Heater를 제어할 시, 저항성 Heater만 제어.
  • Lamp Heater는 SCR(위상각 제어)사용

부족하지만 여기까지 봐주신 여러분들께 감사합니다.

다음 강의에서는 SCR(실리콘 제어 정류소자)의 원리와 용도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Step By Step” 라는 말이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꾸준하게 제 글을 봐주신다면 전장설계를 좀더 쉽게 다가가실 수 있으실 겁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시간에 뵙겠습니다.


10 thoughts on “SSR(Solid state relay)무접점 릴레이의 원리와 용도 – 전장설계 기초 교육 Part9”

    • 제가 지금 장기출장중이라 오랜만에 홈페이지를 열었습니다. 본의 아니게 죄송합니다. 연말에 조금 바빠지긴하겠지만, 더 올릴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음글은 9월15일 까지 올릴 예정입니다.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네이버 블로그는 나중에 올릴 예정이며, 이런 글과 다르게 다른 용도로 할 계획입니다. 일과 병행 할려니 힘이 드는 부분이좀 있습니다 ㅎㅎ…

      응답
  1. 덕분에 잘 공부했습니다.

    SCR글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ㅎㅎ

    혹시 하시는 블로그나 카페가 있으실까요?

    이해하기 쉽게 글을 너무 잘 써주셔서 있다면 다른것들도 공부하고 싶습니다.

    응답
    • 제가 지금 장기출장중이라 오랜만에 홈페이지를 열었습니다. 본의 아니게 죄송합니다. 연말에 조금 바빠지긴하겠지만, 더 올릴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음글은 9월15일 까지 올릴 예정입니다.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네이버 블로그는 나중에 올릴 예정이며, 이런 글과 다르게 다른 용도로 할 계획입니다. 일과 병행 할려니 힘이 드는 부분이좀 있습니다 ㅎㅎ…

      응답
  2. 늦은나이에 전장설계하는 회사에들어왔는데 진짜 아무것도 모르는 생초보입니다.
    덕분에 용어라든지 알기쉽게 정리해주셔서 항상 잘보고 공부하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응답
    •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시간내는대로 꾸준히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하신 사항있으시면 댓글 및 메일 작성해주세요~

      응답

Leave a Comment

error: